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지구온난화
- 코로나19
- 구동사
- 스마트팩토리
- 탄소섬유
- 국민청원
- 코로나
- 한국역사
- 넷플릭스
- 중국당국
- korean
- 지멘스
- 전치사
- 포스트 코로나
- Phrasal verbs
- Korean history
- 스마트팜
- 제조업
- korea history
- 구한말의풍경
- 조선후기
- 일자리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경기침체
- 구한말
- covid19
- 비타민D
- 4차산업
- 소비둔화
- Today
- Total
목록금 (2)
Amazing~한 주절거림

로버트 기요사키의 '페이크' 란 서적을 읽었다. 우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라고 하면 아는 독자들도 많을 것 같다. 우리가 한 번은 들어봄직한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RICH DAD, POOR DAD)의 저자이기 때문이다. 나도 예전에 이 도서를 접하고 특히 가장 기억에 남는 유명한 그림인 '현금흐름사분면' 이 바로 떠올랐다. 이 그림은 역시 도서 '페이크'에서도 다루는 도면이다. 이 그림은 쉽게 말해 부자가 되기위해선 E와 S 계층이 아닌 B와 I 계층이 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것의 이유는 빚을 다루는 것의 차이인데 저자는 E와 S 계층은 빚을 사용하여 더 가난해지고, B와 I 계층은 빚을 사용하여 더 부유해진다고 표현하고 있다. 나는 이것에 대해 단순히 계층이 달라서 사업가 및 투자가 쪽..

안전자산이란 무엇인가?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큰 변동 없이 오히려 위기 때 강해서 우리가 힘들게 모은 자산을 지켜줄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안전자산들 중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GOLD)'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뉴 노멀, 뉴노멀의 시대 라고 말하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뉴노멀이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던 시대를 정상적으로 노멀 하게 보던 것에서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극도록 낮아진 경제성장률을 이상 현상이 아닌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시대, 즉 저성장을 일반화로 받아들이는 것을 뉴노멀이라 부른다. 이러한 저성장은 과거처럼 주식등의 위험자산을 통해 큰 수익을 거두는 것도 크게 기대하기 힘들게 만들었다. 그리고 저성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