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마트팜
- 중국당국
- 코로나19
- 포스트 코로나
- 넷플릭스
- 일자리
- 지멘스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국민청원
- 제조업
- 한국역사
- 소비둔화
- 경기침체
- korean
- 탄소섬유
- Phrasal verbs
- 4차산업
- 조선후기
- 전치사
- 스마트팩토리
- 지구온난화
- Korean history
- 코로나
- korea history
- 구한말
- 구동사
- 구한말의풍경
- covid19
- 비타민D
- Today
- Total
목록포스트 코로나 (2)
Amazing~한 주절거림

전 세계적인 바이러스 팬데믹, 이에 따른 백신 개발은 지속되고 있지만 불확실한 미래를 생각하면 불안함이 엄습해 오는 것이 사실이다.아래는 이것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시나리오의 분석이다. [일자리]- 흔히 알고 있던 재택근무 형태의 직업군들은 바이러스에 의해 가속화되었고 앞으로도 더욱 심화될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부가가치는 분명하다. 사무실 형태의 환경 군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의 절감이다.(출퇴근, 사무실 및 주차공간 비용) 결과적으로 원격업무 기반의 미래 전문직들이 직업 종말의 시기에 살아남게 될 것이며 특히 의료서비스 분야의 중요성이 확대될 것이다. [교육]- 교육의 평등화가 실현될 것이다. 코로나가 부른 온라인과 언택트의 가속화는 교육 시장에 그대로 적용, 높은 콧대를 자랑하던 명문 대학들의 문..

한국판 뉴딜 정책은 코로나 19로 인해 무너져 가는 경기 회복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의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대통령에 의해 주문된 국가적 프로젝트로 2020년 4월에 발표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우리 경제의 디지털 기반의 일자리 창출과 디지털화 가속 및 비대면화의 촉진, 경제혁신의 가속화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것을 바탕으로 정부는 3대 프로젝트와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향후 정부는 데이터의 수집, 활용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데이터 수집-개방-결합-거래-활용의 전 주기의 인프라를 강화하며 금융, 의료, 교통, 공공, 산업, 소상공인 등 6대 분야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촉진한다. 또한 5G등의 네트워크의 고도화 및 강화를 위해 혁신 기반 마련을 위한 5G 인프라를 조기 구축하고 도시 및 산..